탄핵 인용과 기각, 왜 이렇게 갈리는 걸까
요즘 뉴스를 보면, 같은 사건을 두고 이렇게까지 다르게 바라볼 수 있나 싶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을 앞두고 누군가는 ‘이건 반드시 인용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또 누군가는 ‘말도 안 되는 정치적 공격’이라며 분노한다.
같은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바라보는 시선은 완전히 반대다. 단순히 의견이 다르다고 보기엔 그 간극이 꽤 크다.
한쪽은 분명한 책임을 묻기 위한 과정이라고 믿는다. 권한을 남용했든, 헌법적 책임을 져야 할 사안이든, 지금껏 권력이 잘못했을 때 책임지는 모습을 보기 힘들었기에, 이번만큼은 반드시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에게는 ‘법 앞에 누구나 평등하다’는 말이 헛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
반면, 다른 한쪽은 이것이 정당하지 않은 정치적 탄압이라고 여긴다. 사사로운 오해나 절차상의 흠결 정도를 침소봉대해 헌정 질서를 흔든다고 느끼는 것이다. 정권을 끌어내리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믿고, 이런 방식은 결국 더 큰 혼란만 낳는다고 걱정한다.
이 두 입장은 각자의 경험과 믿음, 정치에 대한 신뢰도에서 출발한 결과다. 어떤 이는 과거의 권력 남용에 상처를 입었고, 어떤 이는 반복되는 정쟁 속에서 피로감을 느낀다. 정답이 아니라 ‘시선의 차이’가 이처럼 극명한 입장 차이를 만든다.
문제는 이 갈등이 점점 ‘다름’을 넘어서 ‘혐오’로 번지고 있다는 점이다. 의견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무조건 ‘틀렸다’고 몰아세우는 분위기. 그래서 사회가 점점 더 두 편으로 갈라지고, 어느 누구도 설득하거나 설득당하지 않으려 한다.
탄핵이 인용되든 기각되든, 결과는 분명 논란을 낳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처럼 서로를 비난하는 데만 몰두한다면, 그 결과가 무엇이든 우리는 또다시 상처받고 갈라질 수밖에 없다.
지금 가장 필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자세다. 법의 판단은 법이 하고, 시민은 그 법의 결정 위에 다시 민주주의를 쌓아가야 한다. 생각이 다른 건 자연스럽지만, 서로의 ‘다름’마저 부정해버린다면 우리는 더 이상 ‘함께 사는 사회’라 부를 수 없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