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친 엘리트 의식이 가져온 폐해, 그 거리감에 대하여
정치를 지켜보다 보면 가끔 국민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특히 엘리트 정치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 좋은 학교를 나왔고, 높은 자리에 오래 있었던 사람들이 보여주는 알게 모르게 깔려 있는 우월감이 문제를 더 크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엘리트 의식 자체는 나쁜 게 아닐 수 있습니다.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 국정을 이끄는 건 당연히 필요한 일이고, 어느 정도 기준이 있어야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들이 국민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입니다. 자신이 살아온 특권적인 환경을 기준으로 삼다 보면, 현실의 어려움이나 서민들의 삶을 이해하지 못하는 발언이 자연스럽게 나옵니다. 그렇게 국민과의 거리감이 점점 더 커지고, 결국 정책도 현실과 동떨어진 방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최근 몇몇 정치인들의 경제 정책이나 노동 문제 발언을 보면 그런 느낌이 더 강하게 듭니다. 현장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책상머리에서 나온 논리로만 접근하다 보니, 정작 실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은 이해하지 못하고, 설득력도 떨어집니다. 이런 엘리트 의식의 폐해가 더 심각한 건, 국민들이 정치인들을 신뢰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점입니다. 어차피 자기들끼리만 알고 자기들만 잘 사는 거 아니냐는 냉소와 불신이 커지고, 결국 정치 혐오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정치라는 건 결국 국민을 대표하는 자리인데,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국민과 얼마나 같은 눈높이에서 세상을 보고 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나친 엘리트 의식이 그걸 가로막는 순간, 정치는 국민과 점점 더 멀어지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엘리트 정치인들의 역할, 그리고 그들이 국민과 더 가까워지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지 함께 이야기 나눠보고 싶습니다.
2일 전
정말 공감합니다. 시험을 잘 본 것뿐이지, 그게 진짜 엘리트는 아니죠. 좋은 학교 나오고 스펙은 화려할지 몰라도, 현실을 얼마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느냐가 진짜 엘리트의 기준이어야 하는데, 그걸 놓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시험 잘 본 사람은 많아도, 진짜 국민을 위해 생각하고 움직이는 사람은 드문 것 같습니다. 지식만 높고 시야는 좁은 사람들, 그게 지금 정치권에서 자주 보이는 모습인 것 같아요.
2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