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갱이는 누구인가?
‘빨갱이’라는 단어는 한동안 사라진 줄 알았다. 민주주의가 성숙해졌다고 믿었고, 이념보다 실용이 더 중요해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여전히 누군가를 비난하고 공격할 때, 그리고 복잡한 사회 문제를 단순하게 분열시키고자 할 때, 이 단어는 어김없이 등장한다.
정작 묻고 싶다. 지금 이 시대에, 대체 ‘빨갱이’가 누구인가?
과거 군사정권 시절, ‘빨갱이’는 정권에 반대하거나 체제 비판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낙인찍기 위한 정치적 도구였다. 실제 공산주의자이든 아니든 상관없었다. 그저 입을 열고 비판하면, 빨갱이가 되었고,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 말 한 마디로 사람의 삶이 무너지고, 가정이 파괴되고, 어떤 죽음은 정당화되었다.
그러나 그건 냉전 시대의 이야기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분명 자유민주주의 체제이고, 누구나 다양한 정치적 의견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도 누군가 정부 정책을 비판하거나, 분배를 이야기하거나, 대기업에 대한 규제를 주장하면, 여전히 “빨갱이”라는 단어가 날아든다.
이 얼마나 시대착오적인 인식인가.
‘공산주의’에 대한 이해도 없고, ‘사회주의’와 ‘복지정책’의 차이도 모른 채, 단지 낯선 주장이라는 이유로 상대를 매도하는 행위는 이성의 포기이자, 민주주의에 대한 모욕이다.
무엇보다도 안타까운 건, 이 단어를 쓰는 사람들 대부분이 자신이 어떤 말을 하고 있는지조차 모른다는 점이다.
그저 어릴 때부터 들어온 말, 텔레비전에서 반복되던 단어, 그리고 '내 편이 아닌 사람'에게 던지면 다 정리되는 마법의 표현처럼 인식한다. 이건 단지 편견이 아니라, 의식의 게으름이다.
한국 사회는 아직도 이념의 유령에 갇혀 있다.
누군가는 빨갱이라는 단어로 상대를 함부로 규정하고,
또 누군가는 그 말을 들을까봐 입을 다문다.
그러나 진짜 위험한 건 어떤 이념이 아니라, 토론을 가로막는 언어다.
우리는 더 이상 ‘누가 빨갱이인가’를 따질 시대에 살고 있지 않다.
이제는 ‘왜 아직도 그런 단어가 쓰이고 있는가’를 묻고,
그 언어가 작동하는 구조와 의도를 의심해야 한다.
‘빨갱이’는 사상도, 정책도, 이념도 아니다.
그건 공포와 무지, 그리고 통제의 언어일 뿐이다.
그리고 우리는 더 이상, 그런 언어에 지배당해서는 안 된다.